(2) 제3성의 성조 변화
① 두 개의 3성 글자를 연이어 읽어야 할 경우에는 앞의 3성은 제2성으로 읽는다.
예 很好 (hěnhꐂo → hénhꐂo) :매우 좋다
洗澡 (xǐzꐂo →xízꐂo) : 목욕하다
水果 (shuǐguǒ →shuíguǒ) : 과일
雨傘 (yǔsꐂn →yúsꐂn): 우산
② 제3성이 세 개 이상 겹칠때는 다음과 같이 읽는다.
예 我 也 好 (wǒyěhꐂo →wóyéhꐂo) : 나도 좋다
我也很好 (wǒyěhěnhꐂo →wóyěhénhꐂo) : 나도 아주 좋다
我很了解你 (wǒhěnliꐂojiěnǐ →wóhěnliꐁojiénǐ) : 나는 너를 잘 이해한다.
(3) 반 3성(半三聲)
제3성이 경성을 포함한 다른 성조 앞에서는 제3성의 전반부인 하강 부분만을 발음하고, 후반부인 상승부분은 생략하게 되는데, 즉 음이 내려가기만 하고 올라가지 않는 셈인데 이를 반3성이라 한다. 반3성의 표시 부호는 【^】이지만 보통 표시하지 않는다.
① 제3성+제1성
예) 首都 (shǒudú °서우뚜) : 수도
老師 (lꐂoshī 라오°스) : 선생님
② 제3성+제2성
예) 本國 (běnguó 뻔꾸오) : 본국
好人 (hꐂorén 하오°런) : 호인
③ 제3성+제4성
예) 眼泪 (yꐂnlèi 앤레이) : 눈물
④ 제3성+경성
예) 小心 (xiꐂoxin 시아오신) : 조심하다
(4) 중첩식 형용사의 성조 변화
구어에서 몇 개의 단음절 형용사는 중첩 후에 부사로 쓰이는데, 이때 둘째음절을 통상적으로 「兒化(érhuꐃ)」라고 하며, 원래의 성조에 관계없이 제 1성으로 읽는다.
예) 好好儿地 (hꐂohꐂorde → hꐂohꐀorde 하오하올더) : 잘, 충분히
長長儿地 (chꐁngchꐁngrde →chꐁngchꐀrde °창°찰더) : 길게
慢慢儿地 (mꐃnmꐃnrde → mꐃnmꐀnrde 만말더) : 천천히
暖暖儿地 (nuꐂnnuꐂnrde → nuꐂnnuꐀrde 누안누알더) : 따뜻히
(5) 「 一, 七, 八, 不」의 성조 변화
① 「一」의 변조
「一」는 단독으로 쓰일때는 제1성이지만, 제 1,2,3,성 글자 앞에서는 제4성으로, 제4성글자 앞에서는 제2성으로 변화한다.
예) 一年 (yīniꐁn →yìniꐀn 이니앤): 일년
一百 (yībꐂi →yìbꐂo 이빠이): 백, 100
一定 (yīdìng →yídìng 이띵):반드시
②「七」「八」는 단독으로 쓰일때는 제1성이고, 「不」는 제4성이지만, 이들은 모두 제4성글자 앞에서는 제2성으로 변화한다.
예) 七月 (qīyuè →qíyuè 치위에) : 7월
八萬 (bꐀwꐃn →bꐁwꐃn 빠완) : 팔만
不要 (bùyꐃo →búyꐃo 뿌야오) : 필요없다
不是 (bùshì →búshì 뿌°스) : …이 아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