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역 자료실

일본어 형용사

경매번역 2007. 11. 3. 00:39

경매번역
http://cafe.daum.net/transauction

 

 

 ★ 형 용

 

형용사 어간

(大き)

+

기본형

∼하다 (크다)

いです

높임

∼입니다(큽니다)

く ない

부정

∼지 않다(크지 않다)

く ありません

= く ないです

부정 높임

∼지 않습니다(크지 않습니다)

かった

과거

∼였다(컸다)

かったです

과거 높음

∼였습니다(컸습니다)

く なかった

과거 부정

∼지 않았다(크지 않았다)

く ありませんでした

= く なかったです

과거 부정 높임

∼지 않았습니다(크지 않았습니다)

くて

계속

∼고, ∼서(크고, 커서)

+ 체언(명사)

뒤의 체언 수식

∼한, ∼인(큰)

명사로 만듬

∼함, ∼임(크기)

 

1. 형용사의 기본형

형용사는 사물의 상태나 성질을 나타내는 말로 일본어의 형용사는 반드시 「い」로 끝난다

어간과 어미의 구분이 명확해서 어미 「い」를 제외한 앞 부분이 어간이 된다.
 
2. 형용사의 높임

형용사로 말을 높이려면 기본형 「い」뒤에 「です」를 붙이면 된다.

あついです 덥습니다         おもしろいです 재미있습니다

3. 형용사의 부정

「∼くない」( 않다)

「∼く() ありません」( 않습니다)

「∼く(は) ないです」(∼지 않습니다)를 붙인다.

여기서 조심해야 할 것은 형용사가 이렇게 「く」로 활용될 때에는 언제나 어미 「い」는 무조건 빠진다는 것. 즉 「い」대신 「く」가 들어간다.

おもしろい 재미있다  à おもしろくない 재미없다

                                                à おもしろく() ありません(= ないです) 재미있지 않습니다

「ありません」의 본래의 의미는 없습니다」이지만 형용사를 부정할 때 く」가 오게 되면 본래의 의미「없습니다」는 없어지고 「く」의 힘에 의해서 형용사를 부정하게 된다(∼이지 않습니다)

「くはありません」에서 「は」는 없어도 의미에는 큰 변화가 없다.

4. 형용사의 과거형

기본형 어미 「い」를 「かっ」으로 바꾸고 과거 완료의 조동사 「た」를 붙이면 된다

忙しい 바쁘다  à    忙しかった 바빴다

      よい 좋다       à  よかった 좋았다
5. 「―くて」

형용사를 「∼하고, ∼해서」라고 표현할 때에는 「くて」를 붙이는데 이 경우에도 어미 「い」를 「く」로 바꾸고 접속시킨다

安い 싸다         à   安くておいしい 싸고 맛있다

やさしい 쉽다   à   やさしくておもしろい 쉽고 재미있다

6. 형용사의 중지법

「くて」와 같은 용법이다. 어미 「い」를 「く」로 바꾸고, 句點(くてん)을 찍으면 된다.

) からだも 大きく,力も强い 몸도 크고, 힘도 세다

7. 뒷말을 꾸며 줄 때

형용사가 뒷말을 꾸며 줄 때는 원형이 변하지 않고 그대로 온다.

즉 일본어에서는 「아름다운 꽃」이라는 말을 할 때 「아름답다」는 형용사의 원형 「うつくしい」를

그대로 꽃 앞에 붙여 「うつくしい花」라고 하면 되는 것이다.

靑い 紙(かみ) 파란 종이        凉しい 所 시원한 곳

8. 형용사를 부사형으로 만들 때

형용사의 어미 い를 く로만 바꾸면 부사형이 되고 해석은 「∼하게」「∼히」가 된다

大きい 크다  à  大きく 크게

だんだん 大きく なる 점점 커지다

9. 형용사를 명사로 만들 때

형용사 어미 い를 「さ, け, げ, み」로 바꾸면 명사형이 된다.

寒い 춥다

寒さ 추위

美しい 아름답다

美しさ 아름다움

大きい 크다

大きさ 크기

長い 길다

長さ 길이

重い 무겁다

重さ 무게

重み 무거움



 

10. 형용사의 가정형

형용사 어미 -い 대신 -ければ를 붙이면 된다

忙しい바쁘다  à    忙しければ 바쁘다면, 바쁘면

よい좋다         à    よければ 좋다면, 좋으면
 

☞ 다음 시간에는 복합형용사에 대해서 알아보기로 하겠습니다.

★ 형용사의 특징 및 활용 ★

 

출처- 네띠앙 일본어 동호회 KOJA의 유영선님의 자료를 그대로 인용하였습니다.

 ===========================================================

형용사의 특징

1. 자립어

2. 단독으로 述語가 됨

3. 語尾活用이 있음

4. 語尾가 'い"로 끝남

5. 사물의 성질이나 상태를 表示

--------------------------------------------------------------------------------

형용사 변화

형태 변화



의 미

어간+かろう

ほしかろう 제1변화 추측,의지,권유

∼하자,∼하겠지

어간+かった

ほしかった 제2변화 과거

∼원했었다,

과거의 조동사 'た'가 연결

어간+くない

ほしくない 제3변화 부정

∼원하지 않는다

어간+くなる

ほしくなる 제4변화 부사적변화

∼원하게 되다,

동사앞에 놓여 부사적로 쓰임

기본형(종지형)

ほしい 제5변화

~원한다, 문장을 끝맺음

기본형 + 체언

ほしい物 제6변화 연체형

∼원하는 것, 명사(체언)을 수식

어간 + ければ

ほしければ 제7변화 가정형

∼원하면

 

☞ 복합형용사

 

1. 동사의 연용형 + やすい(하기 쉽다)

1) 讀む → 讀みやすい (읽기 쉽다)                 2) 書く → 書きやすい (쓰기 쉽다).....

 

2. 동사의 연용형 + にくい(하기 힘들다, 하기 어렵다)

1) 讀む → 讀みにくい (읽기 힘들다)                 2) 書く → 書きにくい (쓰기 어렵다)...

 

3. 동사의 연용형 + よい (하기 좋다)

1) 遊ぶ → 遊びよい (놀기 좋다)                 2) 聞く → 書きよい (듣기 좋다)...

 

4. 이외에 보조형용사 ない가 있고, 형용사의 音便形도 있으나 나중에...

형 용 사 활 용

1. 형용사의 음편

형용사의 연용형 「―く」가 「ございます」「存じます」에 이어질 때 어간의 일부도 같이 바뀌어진다. 이러한 현상을 음편(音便: 발음하기 쉽게 음이 변하는 것)이라고 하는데, 이 형태는 인사말로 굳어진 표현 이외에는 그다지 쓰이지 않는다.

약간 예스러운 품위가 있어서 지금도 구어체에서 쓰이고 있는데, 그 유형을 보면 다음과 같다.

 

1) 「ア단 + い」로 끝나는 형용사

ありがたい → ありがたく → ありがとうございます

おめでたい → おめでたく → おめでとうございます

はやい     → はやく     → おはようございます

 

2) 「∼しい」로 끝나는 형용사

よろしい      → よろしく   → よろしゅうございます

うつくしい    → うつくしく → うつくしゅうございます

 

3) 그 외의 형용사(ウ단 + い/オ단 + い → 어간 + う)

さむい → さむく → さむうございます

おもい → おもく → おもうございます

    간단히 요약하면,

  어간의 끝 글자가

「ア단」이면 → 「オ단」+ う

「イ이면 → 「イ+ ゅう

「ウ이면 그대로 + + ございます(ぞんじます)

「エ단」은 없고

「オ단」이면 → 그대로 + う 

 

2. 기본형용사

 

むずかしい 어렵다     

(やさ)しい 쉽다

(あか)るい 밝다    

(くら)어둡다

(あたら)しい 새롭다 

(ふる)낡다

(あつ)두껍다    

(うす)얇다

(あつ)덥다     

(さむ)춥다

すずしい 서늘하다    

(あたた)かい 따뜻하다

いい(よい) 좋다       

わるい 나쁘다

(ちい)さい 작다    

大きい 크다

(すく)ない 적다     

(おお)많다

(かな)しい 슬프다   

(うれ)しい 기쁘다

(なが)길다      

(みじか)짧다

(たか)비싸다  

(やす)싸다

(たか)높다      

(ひく)낮다

(おも)い 무겁다

(かる)い 가볍다

(かた)い 단단하다  

やわらかい 부드럽다

(ふと)굵다     

(ほそ)가늘다

(しろ)희다   

(くろ)검다

(あか)い 빨갛다

(あお)い 파랗다

(ちか)い 가깝다  

(とお)멀다

(ひろ)넓다   

(せま)좁다

あまい 달다    

にがい 쓰다

からい 맵다        

しぶい 떫다

きたない 더럽다     

あぶない 위험하다

 

 

 

3. 합성어로 된 형용사

 

<명사 + 형용사>

しお + (から)い → しおからい(짜다)

(いき) + (くるしい) → いきぐるしい(숨막히다)

 <동사 + 형용사>

むす + (あつ)い →むしあつい(무덥다)

() + よい → すみよい (살기 좋다)

 <형용사 어간 + 형용사>

(うす) + (くら)い → うすぐらい 어둑어둑하다

(ほそ) + (なが)い → ほそながい 가늘고 길다

 <같은 형용사어간 + しい>

(おも) + (おも)い → おもおもしい(묵중하다)

(かる) + (かる)い → かるがるしい(경박하다)

 <접미어가 붙은 것>

(おこ) + ぽい → おこりっぽい 화를 내다

(おとこ) + らしい→ おとこらしい 남자답다

 <접두어가 붙은 것>

+ やすい → たやすい 손쉽다

まっ + (しろ)い → まっしろい 새하얗다

 

4. 형용사와 혼동하기 쉬운 낱말

·형용사 기본형이 「い」로 끝나기 때문에 다른 품사에서 「い」로 끝나는 단어랑 헷갈리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きれい - きれいだ(형용동사 깨끗하다, 예쁘다)의 어간이다.

·어간만으로 쓰이는 경우가 많음.

·きらい - きらい(명사 싫어함), 또는 きらいだ(형동 싫어하다)의 語幹이다.

 

 

 

 

 

5. 형용사에서 전성된 명사·부사

 

<多い>

多くの人人(ひとびと) (명사) 많은 사람들

雨が多く降る (형용사) 비가 많이 온다

多く 失敗に 終わる 대부분 실패로 끝난다. (부사)

<近い>

近くに住んでいる (명사) 근처에 살고 있다

冬休みが近くなる (형용사) 겨울방학이 가까와지다

近く結婚するそうです (부사) 곧 결혼한다고 한다

<遠い>

遠くを見ることができる (명사) 곳을 있다

學校が遠くなる (형용사) 학교가 멀어지다

<よい>

色もよく, においもよい (형용사) 색깔도 좋고, 냄새도 좋다

かれとはよくあう (부사) 그와는 자주 만난다